티스토리 뷰

반응형

P36

주택에 식사 공간을 별도로 두는 사례는 서유럽이나 중국처럼 의자에 앉아서

식사를 하는 문화권에서만 보인다. 특히 옮기기 어려운 무거운 식탁과 의자를

갖추어놓고 생활하는 문화권에서는 식사 공간인 다이닝룸이 일찍부터 등장했다

 

P84

 

이미지 출처 : https://blog.naver.com/tnfmk/220120000963

 

P160

도기 토기 자기의 차이점

이미지 출처 : https://blog.naver.com/hej0509/221202780823

 

P245

조선 왕실의 이러한 <시계열형> 상차림 방식은 고대 중국의 예법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당나라 이후 중국에서는 사라졌다. <시계열형> 방식이 조선에서 지속될 수 있었던 이유는

소반 때문이다. 조선시대에 가장 널리 사용된 식탁이자 고급스런 접대 식탁이었던 소반을

사용하여 연회를 치르려면 손님마다 소반을 하나씩 내면서 음식도 <시계열형> 방식으로

상을 차릴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조선 왕실의 진연, 진찬 연회의 상차림과

서비스 방식은 <개별형 + 시계열형>이 되었다

반응형

'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 나이프 - 팀 헤이워드  (0) 2019.01.12
왜 맛있을까 - 찰스 스펜스  (0) 2018.12.22
Flour Water Salt Yeast - Ken forkish  (0) 2014.09.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