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P137

별의 내부가 수축하는 동안 별의 외부는 팽창한다

 

P145

별이 수축하면 각운동량이 보존되기 때문에 피겨 스케이팅 선수가

팔을 접을 때처럼 더 빠르게 회전한다. 그러면 자기장도 압축되며

더 강해진다. 게성운에 있는 중성자별 표면의 자기장은 지구 표면의

자기장보다 10∧12배 더 강하다. 중성자 별이 회전하면 자기 북극과

남극이 회전하기 때문에 중성자별은 마치 등대처럼 두 개의 전파 빔을

방출한다. 그래서 중성자 별은 전파 펄사라고 불린다

 

P256

현재의 우주가 무한히 크다면 과거로 수축을 시켜도 무한하고, 빅뱅

순간까지 되돌려도 마찬가지다. 태초에 우주는 무한히 크고 무한히

밀집하고 무한히 뜨거웠다

 

P257

우주는 크기는 무한하지만 나이는 유한한 것으로 보인다

우주의 나이가 유한하고 빛의 속도도 유한하기 때문에 우리는 우주의

유한한 부분밖에 볼 수가 없다

 

P279~280

우리는 우주가 138억 년 전에 태어났다고 추론했고, 이것은 가장 오래된

별의 나이와 너무나 잘 맞는다. 우리는 수소와 헬륨 핵이 빅뱅 직후 몇 분동안

12:1의 비율로 만들어졌다고 결론내렸고, 이것은  관측 결과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그리고 우리는 중수소의 양도 예측할 수 있으며, 그것도 역시

관측 결과와 잘 맞다. 우리는 우주배경복사의 존재와 그것의 스팩트럼, 온도

놀라운 균일성과 여러 성질들을 예측했고, 이것은 모두 관측과 정확하게

일치한다. 아마도 가장 인상적인 것은 우주배경복사가 완벽하게 균일해서는

안되고 10만 분의 1 수준의 변화를 보여야 하며, 각 크기의 변화가 복잡한

곡선을 따라야 한다고 예측한 것이 아닐까 싶다. WMAP과 플랭크 위성이

이 예측도 확인해주었다. 마지막으로 이 변화가 중력 불안정 아래에서 어떻게

자라야 하는지 계산한 컴퓨터 모형은 은하들이 수억 광년 아래에서 필라멘트를

따라 구조를 이루고 있어야 한다고 예측하는데 이것은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가

보여준 지도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P288

퀘이사는 기체 원반에 둘러싸인 초거대질량 블랙홀이고,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기체는 너무나 뜨거워져서 자신을 포함하고 있는 은하 전체보다 더 밝게 빛난다

 

P289

블랙홀에 가까이 있는 원반의 엄청난 에너지는 강한 에너지를 가진 입자들을

튀어나가게 만든다. 이 입자들은 원반에 다시 막혀서 원반에 수직 방향으로

튀어나가는 제트를 만들고 이 제트는 강한 자기장의 영향을 받는다

3C273

이미지 출처 : https://www.spacetelescope.org/images/opo0303c/

 

P295

Large Synoptic Survey Telescope

이미지 출처 : https://www.cnet.com/pictures/lsst-project-large-synoptic-survey-telescope-deep-space-pictures-largest-digital-camera/5/

 

P360

Krulskal diagram

이미지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Kruskal%E2%80%93Szekeres_coordinates#/media/File:KruskalKoords.gif

 

P373

Einstein-Rosen bridge

이미지 출처 : https://www.space.com/20881-wormholes.html

 

P430

당신이 계속해서 남쪽으로 간다면 결국 남극점에 닿을 것이다. 하지만 남극점보다

더 남쪽으로 갈 수은 없다. 마찬가지로 시간을 따라 점점 과거로 가면 결국 빅뱅에

닿을 것이다. 여기는 시간과 공간이 시작된 곳이다. 그러므로 시간이 갈 수 있는

가장 먼 곳이다

 

P458

우주 팽창을 가속시키는 힘은 그저 중력일 뿐이다

그리고 이것은 암흑에너지와 관련된 음의 압력 때문에 밀어내는 힘이 된다

반응형

'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자 불가사의  (0) 2013.04.02
수학으로 배우는 양자 역학의 법칙  (0) 2013.03.22
파인만의 QED 강의  (0) 2013.03.04
물리학 클래식  (0) 2013.03.01
처음 읽는 우주의 역사  (0) 2013.02.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