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P98

일반적으로 지지는 어떤 가격대에 진입했을 때 매수를 생각하는 투자자가

기꺼이 매수에 참여하고 보유자는 청산하는 것을 보류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저항은 매수를 생각하는 투자자는 매수하기를 윈치 않고 보유자는 기꺼이

매도를 하려는 가격대이다

 

P147

패턴1은 이동평균선 3개 이상이 한곳에 수렴하는 현상을 말한다

패턴1은 기간 조정인데 상승추세에서 패턴1이 발생하면 상승추세가 확장되고

하락추세에서 패턴1이 발생하면 기존추세인 하락추세가 확장된다

 

P152

상승추세에서 이동평균선이 수렴한다는 것은 이미 깊은 가격 조정과 오랜

기간 조정을 받아 더 이상 주가가 밀리지 않는 상태를 뜻하기 때문에

주식을 저가에 매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P164

상승추세에서 이동평균선 수렴 후 상승하면 기간 조정은 주도세력의

매집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도 이동평균선 수렴 후 하락하면 주도세력의

물량처분으로 해석할 수 있다

 

P210

MACD선이 0선 아래에 놓여 있을 경우 위에 놓여 있는 0선은 저항 역할을 하고

MACD선이 0선 위에 놓여 있을 경우 아래에 놓여 있는 0선은 지지 역할을 한다

MACD선이 0선에 위치하는 경우는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이 서로

크로스 할 때다.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하려면 위든 아래든 강한 힘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주가가 상승할 때에는 데드크로스도 쉽지 않고 한 번

데드크로스가 발생하면 골든크로스도 만만치 않다

 

P249

상승추세에서의 패턴2는 MACD가 0선 아래에서 다시 기존 추세를 확장하는 것이고

하락추세에서의 패턴2는 MACD가 0선 위에서 기존 추세를 확장하는 것을 말한다

패턴2는 깊은 가격 조정이기 때문에 매수해 장기 보유하면 큰 수익을 올릴 수 있다

패턴2는 깊은 가격 조정을 받는 가운데 저점매수를 노리는 기법이기 때문에 승률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P296

평소 매매일지를 빠짐없이 기록해서 자신의 승률이 어떻게 되는지, 평균손절폭은

몇 %인지, 승률과 손절폭을 감안해 계좌를 플러스로 만들기 위해 이익실현은

최소한 몇 % 이상에서 해야 하는지 꼼꼼히 검토해야 한다

 

P326

패턴매매기법에서는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는 요소를 추세선, 이동평균선

전고점(또는 전저점), 갭, 의미있는 가격대 이렇게 5가지로 보고 있다

 

P347

상승추세에서의 패턴3은 MACD가 0선 근처에서 다시 상승하는 것을 말하고

하락추세에서의 패턴3운 MACD가 0선 근처에서 다시 하락하는 것을 말한다

패턴3은 얕은 가격 조정이기 때문에 다시 추세를 확장할 확률이 높다

패턴2에 비해 리스크 대비 리턴이 다소 적긴 하지만 높은 승률로 좋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P348

외국인 투자자들이 즐겨 사용하는 이동평균선은 33일 또는 35일 이동평균선이다

대부분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을 붕괴할 때 손절매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주가는 20일 이동평균선 아래로 잠깐 내려가다가 다시 상승추세를 이어가는 경우가 많다

20일 이평선이 붕괴해 60일 이동평균선에서 매수하려고 하면 중간 지점에서 그냥 상승하는데

그 자리가 바로 33일 이동평균선이다

 

P364

주가가 급등하면 주가와 이동평균선간의 이격은 확대되고 차익을 실현하고자 하는 매물은 증가한다

이 때문에 주가가 다시 상승하기 위해서는 매물소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기간 조정을 거쳐서라도

주가와 이동평균선의 이격을 줄이는 과정이 필요하다

주가를 끌어 올리는 세력 입장에서도 주가를 고정에서 비싸게 매수하는 것보다느 조정 시 저가에

매수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이렇게 해서 쌍바닥 패턴3이 만들어진다

 

일봉차트에서 MACD가 상승전환하는 것을 확인하고 매수하면 이미 주가가 저점 대비 6~10%

상승한 상황에서 매수하는 것이기 때문에 잘못하다가느 단기 고점에 물리기 쉽다

따라서 일봉차트에서 투자 전략을 수립하고 60분차트에서 MACD를 이용해 매수해야 한다

 

P424

주가가 급락하는 원인은 쌍봉 하나 때문만은 아니다. 여려가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

고점에서의 장대음봉, 거래량 분출, 쌍봉 형성, 이격과다 등이 그 대표적인 예다.

따라서 주가가 많이 올라 쌍봉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코스피200 종목 기준 -5% 이상의

장대 음봉에 거래량이 분출하면 특히 조심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